집단사고 만장일치가 아니면 안될까?

심리|2016. 3. 7. 20:26
반응형

집단사고는 응집력이 강한 조직에서 갈등을 최소화 하기위해 만장일치로 

선택하는 경향을 뜻합니다.

우리나라는 단체문화가 상당히 익숙합니다.

그로인해 가장 힘쎈 사람 한명이 선택하면 무리들은 그것을 따라가는 편이죠.

가장 흔한 예로는 부장(혹은 가장 높은사람)님이 직원들과 중국음식점에 가서

자기는 자장면을 먹는다고 하고 직원들 보고 선택하라고 하면 대개 자장면을 고를 것입니다.

갈등을 일으키지 않기위해 자제하는 것이지요,



우리나라는 군대식 조직문화가 발달돼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똥군기가 대표적이죠.

까라면 까고 말라면 말라는 식의 이런 문화는 보기에 좋지 않습니다.

이는 권위주의적인 우리 사회의 모습을 들여다 볼 수 있게 해주는 면입니다.

그로인해 개개인의 의견은 무시되기 쉽고 개인의 자존심또한 심각하게 회손될 우려가 있습니다.




집단사고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먼저 개개인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가 있어야겠습니다.

또한 높은위치에 있는 사람이 자신의 의견을 최소한으로하고 주변인들에게 기회를 줘야할것입니다.

집단사고가 중요한일을 처리할때는 유리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사소한것까지 모두 같은 것을 바라는 것은 권력자의 욕심인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